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서버
- 파일시스템
- 트러블슈팅
- Nutanix
- 서버관리
- 서버모니터링
- 아자아자
- openssl
- openssl 1.1.1q
- 메모리
- 초보
- 용량
- 그라파나
- rockylinux
- 스왑메모리
- lsof
- 윈도우
- df
- centos7
- 리눅스
- fdisk
- Linux
- openvpn
- Du
- 작업 스케줄러
- striped
- lvm
- vm.swappiness
- swap메모리
Archives
- Today
- Total
아자아자 서버마스터
[Linux] LVM Striped 본문
[LINUX] LVM Striped
사전 상황 설명
기존 가상화서버(뉴타닉스)에서 VM을 운영중인 상황에, DB의 IO성능에 대한 이슈가 발생하였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뉴타닉스의 Era를 사용하여 벤치마크를 실행하였습니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는 서버의 디스크구성이 LVM으로 되어있는데, Linear로 mapping이 되어있어 디스크 IO 성능이 잘 나오지 않는다는 의견을 받고, Striped로 mapping하는 방식으로 개선하는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작업 설명
현재 서버는 iscsi를 이용하여 디스크를 구성해놓은 상태입니다.
디스크 성능을 위해 500G 디스크 6개로 총 3TB 디스크를 구성합니다.
(LVM 개념은 알고있다는 가정하에 정리를 진행합니다!)
다수의 볼륨을 하나의 볼륨으로 묶어주는 LVM 방식에는
Linear 방식과 Striped 방식이 존재합니다. (Mirror 방식도 있음)
데이터를 적재하는 방식에 대해서
Linear 방식은 위부터 차례대로 적재를 하고,
Striped 방식은 사용하는 PV에서 동시에 데이터를 읽고, 쓸 수 있게 해서 대역폭을 늘립니다.
1. fdisk (파티션 테이블 명령어)
fdisk /dev/sdb
n, p, 1, enter, enter, t, 8e, p, w
2. pvcreate (PV 생성)
pvcreate /dev/sdb1 /dev/sdc1 /dev/sdd1 /dev/sde1 /dev/sdf1 /dev/sdg1
pvdisplay
3. vgcreate (VG 생성)
vgcreate iscsivg /dev/sdb1 /dev/sdc1 /dev/sdd1 /dev/sde1 /dev/sdf1 /dev/sdg1
VG 이름은 iscsivg로 생성을 하고, 해당 VG안에 신규 생성한 PV들을 넣어줍니다. 500G 디스크 6개가 들어가서 2.93TiB 할당 된것을 확인합니다.
4. lvcreate (LV 생성)
lvcreate -l +100%FREE -i6 -I64 -n striped_logical_volume iscsivg
Striped 방식의 LV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옵션에 대해 알아보자면,
- lvcreate -l +100%FREE : VG에서 가지고 있는 볼륨 사이즈를 100% 전부 다 LV에 할당하겠다. 라는 뜻입니다.
- -i6 : Striped 구성에서 스트라이프의 갯수를 지정해줍니다.
(PV의 개수보다 크면 안됩니다. 저는 500G 6개이기 때문에 6으로 지정) - -I64 : 스트라이프 크기입니다. 보통 4K ~ 256K 사이에서 적절하게 정해줍니다. 해당 볼륨에서 크기가 큰 파일들을 다룬다면 스트라이프 크기가 큰것이 유리하고, 단순 문서 파일의 저장이 목적이라면 스트라이프 크기가 작은것이 유리합니다. 보통 32K ~ 64K 범주면 무난하다고 합니다.
- -n striped_logical_volume : LV이름을 지정해줍니다.
- iscsivg : LV에 들어갈 VG를 할당해줍니다.
5. lvdisplay (생성된 LV 확인)
lvdisplay -m
-m 옵션은 logical volume이 physical volume에 어떻게 mapping 되어있는지 상세정보를 제공합니다.
Striped 방식으로 LVM 구성된 것을 확인합니다.
6. vi /etc/fstab (mount 작업)
lsblk --fs
위 명령어로 UUID를 확인하였고,
UUID=~~ /data xfs defaults 0 0
해당 내용을 입력하고 저장하였습니다.